|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8)-폭격
18. 폭격 제58기동부대는 1944년 6월 12일부터 본격적인 폭격을 시작했다. 전날 오후에실시된핼캣들의 기습으로 마리아나 제도의 제공권은 미군 손에 들어왔으므로 이제 급강하폭격기들과 뇌격기들이 본격적으로 폭격에 나섰으..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17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7)-제공권 장악
17.제공권 장악 일본군은 제58기동부대가 마주로를 떠난지 3일 후인 1944년 6월 9일에 이사실을 알았다. 이날 일본해군의 고속정찰기인 사이운이 마주로 환초를 정찰하여 6월 5일 정찰 당시 초호를 가득 메우고 있던 함정들이 1척..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15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6)-출항
16. 출항 일본제1기동함대 사령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은 제2차 곤 작전이 실패하자 훨씬 대규모의 제3차 곤 작전을 기도했다. 그는연합함대 사령관 도요다 제독의 허가를 받아 18인치 주포로 무장한 전함 야마토와 무사시, 경..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14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5)-제2차 곤 작전
15. 제2차 곤 작전 새뮤얼 델리 소령이 지휘하는 하더는 타위타위를 감시하던 중 1944년6월 초에 제7함대의 잠수함사령부로부터 보르네오 섬북동쪽으로 가서 게릴라들을 태우고 오라는 명령을 받았다. (가토급 잠수함 SS-257 하..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13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4)-제1차 곤 작전
14. 제1차 곤 작전 1944년 5월 27일에 맥아더 장군의 남서태평양지역군이 서부 뉴기니의 비악 섬에 기습적으로 상륙했다. 그러자 1944년 초반에이쪽 방면을 증강하기 위하여 병력과 물자를 보냈다가 미군 잠수함에 의하여 큰 손실..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12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3)-타위타위 감시
13. 타위타위 감시 미국잠수함대는 필리핀해 해전에서 일본잠수함들과 달리 맹활약했다. 필리핀해 해전에서 태평양해역군의 잠수함대인 제17기동부대가 19척, 남서태평양지역군의 해군세력인 제7함대 소속잠수함부대가16척(..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11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2)-대잠작전(3)
12. 대잠작전(3 )- 일본잠수함대 무력화 1944년 6월 초에 호위항모 호가트베이와 챈들러 대령이 지휘하는 제41구축함분대(테일러, 니콜라스, 오배넌, 호프웰)로 이루어진 대잠부대가 시애들러 항을 떠났다. 6월 10일에 호가트베이..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10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1)-대잠작전(2)
11. 대잠작전(2) - 잉글랜드의 활약 1944년 5월 18일 오후에 월튼 펜들턴 소령이 지휘하는 미해군의 호위구축함 DE-635 잉글랜드는 호위구축함 라비(제임스 스코트 소령) 및 조지(페이지 소령)와 함께과달카날 북쪽에있는 플로리다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08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10)-대잠작전(1)
10. 대잠작전(1) - NA선 아호 작전에서 일본해군의 잠수함 운용방식은 길버트 제도 및 마셜 제도에서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미함대의 접근 방향에 몇 개의 초계선을 설정해두고 일렬로 잠수함을 배치하는 방식이었다. 일본해군..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07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9)-준비 운동
9. 준비 운동 제58기동부대가 마리아나 제도를 처음으로 공격한 것은 에니웨톡 전투 기간 중인 1944년 2월23일이었다. 2월 18일과 19일에 실시된 트럭 대공습을 마친 제58기동부대는 21일에 콰잘레인에 들러 급유를 마치고 다시 출..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06 11:09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8)-아호 작전
8.아호 작전 일본 해군은 1944년 2월 말에 애니웨톡 환초가 점령된 직후부터 미군의 다음 목표가 마리아나 제도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일본 육군은 마리아나 침공은 아직 멀었다고 생각하여 마리아나 제도에 추..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05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7)-미해군과 일본해군의 상황
7. 미해군과 일본해군의 상황 미드웨이 해전 이후 필리핀해 해전까지 2년 동안 미국은 태평양에서 일본을 착실히 밀어붙였다. 이 24개월동안 미군은 서경 177도에서 동경 45도까지 경도 48도를 밀어붙였으며 거리로는 5,330km 에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04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6)-제1기동함대
6. 제1기동함대 스프루언스 제독과 미처 제독의 상대는 1944년 3월 1일에 제1기동함대 사령관으로 취임한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이었다. (제1기동함대사령관 오자와 지사부로 제독.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오자와 제독은 키가 2m ..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2-03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5)-제58기동부대(4)
5. 제58기동부대(4) - 윌리스 리 제독 제58기동부대에는 항공모함들을 제외하고도 7척의 고속전함이 있었다. 고속전함 7척으로 이루어진 강력한 수상함대인 제58.7전단을 이끌고 있던 사람은 1908년에 아나폴리스 해군사관..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1-30 11:00 am추천 -
[비공개] 필리핀해 해전(4)-제58기동부대(3)
4. 제58기동부대(3) - 알레이 버크대령과 전단장들 제58기동부대 사령관 미처 제독의 참모장은 1923년에 아나폴리스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한알레이 버크 대령이었다. (알레이 버크 제독. 자세한 내용은 여기로) 동기생 412명 중 71..대사의 태평양전쟁 이야기|2012-11-29 11:00 am추천